
[오피니언뉴스=이상석 기자] 전세계 무슬림 인구가 최근 10년간 3억5000만명 불어나면서 종교 지형이 급변했다.
미국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는 9일(현지시간) 공개한 '2010∼2020년 세계 종교 지형 변화' 보고서에서 2020년 현재 전세계 인구 중 75.8%가 종교를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어떤 m 2 슬롯에도 속하지 않은 인구는 24.2%로 4명중 1명꼴로 나타났다. 이같은 '무교' 인구 비중은 2010년(23.3%)보다 1%포인트 늘었다. 보고서는 무교 증가세가 특히 기독교 이탈에 따른 여파로 분석했다.
조사 기간 기독교인은 10년 사이에 1억2200만명 증가한 23억명에 달했다.
이는 세계 인구 중 최대 비중(28.8%)을 여전히 유지한 것이지만 10년 전보다 1.8%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무슬림 인구는 10년 사이에 무려 3억4700만명 증가한 20억명에 달해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한 m 2 슬롯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무슬림이 세계 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은 1.8%포인트 증가한 25.6%에 달했다.
무슬림 증가세가 "놀라운 속도"로 일부 지역에서 무슬림의 높은 출산율, 비교적 낮은 이탈률 등에 따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기독교 인구 비중이 감소한 것은 m 2 슬롯 이탈에 따른 것으로 보고서는 짚었다.
m 2 슬롯가 없는 '무교' 인구는 10년 간 2억7000만명 늘어나 19억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인구 중 기독교, 이슬람에 이어 세번째로 큰 비중(24.2%)을 차지한 것이다.
힌두교 인구는 1억2600만명 늘어난 12억명에 달해 세계 인구 중 14.9%를 차지했다.
불교 인구는 10년간 1900만명 감소한 3억2400만명에 그쳐 유일하게 인구가 줄어든 m 2 슬롯가 됐다. 세계 인구에서 불교가 차지하는 비중도 0.8%포인트 줄어든 4.1%에 머물렀다.
유대인은 100만명 증가한 1480만명으로 0.2% 비중을 차지했다.
보고서 주저자인 콘래드 해킷은 워싱턴포스트(WP)에 "전세계에서 기독교인이 되는 젊은층 1명당 기독교를 떠나는 사람은 3명꼴로 나타났다"면서 "이전까지는 고령화, 저출산 여파로 무교 인구도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실제로 기독교 이탈 여파로 무교 인구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2700건이 넘는 인구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토대로 했다.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