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10년 간의 고된 노력의 결실인 로보택시가 출범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2일(현지시각) 테슬라가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이날 오후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유료 서비스를 위한 시범 운행을 개시했다.
머스크는 자신의 SNS 엑스(X·옛 트위터)에 "로보택시 서비스를 오스틴에서 시작한다"며 "승객들은 정액 요금 4.3달러를 지불한다"고 밝혔다.
'10년간의 고된 노력의 결실'이라고 자평한 테슬라는 로보택시에 대해 "AI칩과 소프트웨어 팀 모두 테슬라 내부에서 처음부터 자체적으로 구성된 팀"이라면서 "이들이 테슬라 AI 컴퓨터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정말 훌륭한 일을 해냈고 그들이 없었다면 로보택시는 아직 실현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날 본사가 있는 미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운행을 시작했다. 이날 테슬라는 약 10~20대 차량을 투입해 제한된 구역에서 소수의 SNS 인플루언서와 임직원을 대상으로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했다.
로보택시엔 테슬라 모델Y가 활용된다. 가장 많이 판매된 테슬라 모델 중 하나로 완전 자율주행 기능(FSD)이 탑재돼 있다. 탑재된 8개 카메라가 FSD센서 역할을 하며 로보택시에는 조수석에 안전 모니터를 배치해 안전성을 높였다는 게 테슬라의 설명이다.
머스크는 올해 말까지 미국 내 다른 도시들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첫 주에 약 10대의 로보택시를 도입한 후 몇 달 안에 1000대까지 늘릴 것"이라고 했다. 또 사이버캡 등 로보택시로 설계된 모델도 서비스에 나설 예정이다.
테슬라는 장기적으로 전 세계에 판매한 자사 차량을 로보택시에 활용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공유 숙박 플랫폼 '에어비앤비'처럼 자신의 테슬라 차량을 택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자율주행인 만큼 '우버'와 달리 직접 운전할 필요 없이 자신의 테슬라 차량을 택시처럼 운용해 부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테슬라는 이를 위한 별도의 플랫폼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테슬라는 이를 통해 로보택시를 따로 생산할 필요 없이 테슬라 차주와 손님만 연결하면 된다고 했다. 머스크는 "소유주는 연간 3만 달러를 벌 수 있다"고 했다.

테슬라가 로보택시 시장에서 서비스 개시를 공식화한 만큼 구글의 맞대결은 불가피하다.
현재 로보택시 서비스에서 가장 앞선 건 구글의 웨이모다.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LA), 실리콘밸리, 피닉스에서 운행 중이다. 내년 워싱턴 D.C. 등 동부 지역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이미 유료 탑승 실적은 1000만 건을 넘겼으며 유료 운행 건수가 주당 25만 건에 달한다.
구글 이외에도 아마존의 자율주행 부문인 죽스(Zoox)도 최근 캘리포니아에 로보넷 엔트 슬롯 생산 시설을 열었다. 죽스는 샌프란시스코와 LA에서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추후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어서 경쟁이 예상된다. 이외에도 중국에선 바이두, 포니에이아이 등이 베이징과 상해에서 운행 중이며 유럽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테슬라는 경쟁 업체, 특히 구글과 차별화 포인트로 '실시간(Real Time)'을 꼽는다. 테슬라는 카메라와 인공지능 기술로 실시간으로 도로와 주변 환경을 인식하며 판단하고 주행한다. 이 때문에 지도가 필요하지 않고, 낯선 도로에서 적용이 비교적 쉽다.
반면 웨이모의 로보택시는 이미 제작한 정밀 지도를 기반으로 주행한다. 이미 입력된 지도대로 움직이며 레이더와 카메라 등 센서를 보조적으로 활용하기에 정밀한 지도가 구축되지 않은 곳에선 운행이 어렵다.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