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주간전망] 슬롯 총판 관련 변동성 확대 가능성 열어둬야
상태바
[뉴욕 주간전망] 슬롯 총판 관련 변동성 확대 가능성 열어둬야
  • 김지은 기자
  • 승인 2025.06.02 06:40
  • 댓글 0
이 슬롯 총판를 공유합니다

트럼프 "4일부터 철강 슬롯 총판 50%로 인상할 것"
슬롯 총판 관련 불확실성 심화
고용보고서 등 주요 경제지표도 지켜봐야 
이번주 뉴욕증시는 변동성이 큰 흐름이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이번주 뉴욕증시는 변동성이 큰 흐름이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지은 기자] 지난주 뉴욕증시는 상승 흐름을 보였다. 

지난 28일(이하 미 동부시각) 미 국제무역법원(CIT) 재판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슬롯 총판 정책에 제동, 상호슬롯 총판 부과 조치를 전면 무효화했다.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항소와 함께 미 연방순회항소법원이 1심 판결을 일시 중지하는 명령을 승인, 슬롯 총판 효력을 되살렸다.

관세와 관련한 뉴스가 혼재되면서 주식시장 또한 다소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강도가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미 증시는 주간 기준으로 강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주간 기준으로 1.6% 상승한 4만2270.07로 지난 한 주간의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87% 오른 5911.69로 거래를 마쳤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으로 2.00% 오른 1만9113.77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번주 역시 변동성이 큰 흐름이 예상된다. 

지난 주말인 30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철강제품에 부과 중인 25%의 슬롯 총판를 5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12일부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외국산 철강 제품에 25%의 슬롯 총판를 부과했는데, 이를 2배로 인상할 것임을 밝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6월4일부터 시행된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소식에 유럽연합(EU)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강한 유감을 표했고, 호주 정부 역시 "정당하지 않으며 친구의 행동이 아니다"고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과의 무역합의와 관련해 양국간 마찰이 발생한 점도 부담 요인이다. 앞서 지난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나쁜 소식은, 어떤 이들에게는 놀랍지 않겠지만, 중국이 우리와의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은 이에 대해 성명을 내고 "차별적 제한을 중단하고 양측은 제네바 고위급 회담에 합의된 것을 공동으로 준수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 회견을 통해 "나는 시진핑 국가주석과 이야기를 나눌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언급,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려 애썼으나, 관세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점은 이번주 주식시장의 상단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주에는 주요 경제지표 또한 대거 발표된다. 

먼저 오는 2일에는 미국 ISM의 제조업지수가 발표될 예정이며, 4일에는 서비스업 지수가 발표된다. 

현재 제조업 지수는 전월 48.7 대비 소폭 증가한 49.0, 서비스업 지수는 전월 51.6 대비 소폭 증가한 52.0으로 예상된다. 

6일에는 고용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전월과 비슷하거나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주에는 미국의 경제지표와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 체감지수의 부진은 다소 진정되는 양상이지만, 노동시장의 둔화 흐름이 지속되면서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6월 2일

2일에는 5월 S&P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4월 건설지출, 5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PMI가 발표된다.

이날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과,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연설에 나선다. 

▲6월 3일 

3일에는 4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 구인 및 퇴직건수와, 4월 공장주문, 4월 내구재 및 제조업 수주 등이 발표된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와 리사 쿡 연준 이사,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등은 이날 연설에 나선다. 

▲6월 4일

4일에는 5월 ADP 고용지표와, 5월 S&P글로벌 서비스업 PMI, 5월 ISM 서비스업 PMI가 발표된다. 이날 연준의 베이지북도 공개된다. 

▲6월 5일

5일에는 5월 챌린저 고용보고서와, 5월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1분기 단위노동비용 및 비농업 생산성, 4월 무역수지 등이 발표된다. 

이날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와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연설에 나선다. 

▲6월 6일

6일에는 5월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발표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